주택연금 수령액계산 조회하기
소득이 없는 노부부들은 연금을 수령받기도 하지만, 낮아지는 연금으로 인해 턱없이 부족해진 상황입니다. 그렇게 정부에서 여러 제도를 지원을 해주는 데, 주택연금도 그중 하나입니다.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설정하여 받는 연금입니다. 즉, 본인의 명의로 된 집만 있으면 이 집을 담보로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택연금은 신청 방식도 다양하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먼저 월지급금을 평생 지급받는 종신 방식이 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확정기간 방식인데, 직접 기간을 선택하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대출상환방식입니다. 대출상환방식은 대출을 상환 할 수 있도록 인출한도를 설정한 후 나머지 금액에 대해 평생 지급받는 갓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우대 방식입니다. 우대 방식은 기초생활수급자이면서 1.5억 원 미만의 주택을 소유할 경우 20%를 우대하여 지급받게 됩니다.
주택연금 수령액계산
구간별 주택연금 수령액입니다.
<종신 방식>
종신지급방식은 말 그대로 평생 지급을 받는 방식입니다. 주택별로 수령액이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주택과 노인복지주택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겠습니다.
표를 보시면 부부 중 연소자 기준으로 일반주택에 거주하시는 70세일 경우 주택 공시가가 3억 원일 때 매달 92만 2천 원을 지급받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종신 방식에서 노인복지주택에서 같은 조건일 경우에는 매달 80만4찬원을 지급받습니다. 약 10만 원을 조금 더 낮게 수령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확정기간 혼합방식>
확정기간 혼합방식은 10년에서 30년까지 직접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10년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연소자 기준으로 70세일 경우 3억 원 주택일 때 10년으로 지급받을 시 매달 155만 5천 원입니다. 아무래도 평생 지급받는 것보다는 금액이 훨씬 더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대출상환방식>
부부 중 연소자를 기준으로 하여 인출한도 금액과 월지급금의 예시입니다.
70세로 3억 원의 주택에서 거주를 할 경우 대출한도는 1억 4천5백이고 월 수령액은 9만 원입니다.
<우대지급방식>
우대지급방식은 1.5억 미만 주택일 경우에만 해당이 되기 때문에 표가 다소 간단합니다.
연소자 기준으로 70세에 1.3억 원의 주택일 경우에는 매달 45만 원을 받습니다. 종신 방식이 39만 원인 것에 비해 매달 6만 원을 더 수령받습니다.
이렇게 구간별로 주택연금 수령액계산을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수령액은 직접 설정하여 조회도 가능하기 때문에 위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상황에 맞게 설정하여 조회해보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몇 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물가상승 또는 부동산 집값 상승이 될 경우에는 주택연금도 높아질까요? 물가상승 등 모든 상황을 이미 반영을 했기 때문에 처음에 신청을 했던 금액으로 계속 지급을 받게 됩니다.
가입자가 사망한 후 주택연금 대금은 상속인이 주택을 매각하여 또는 현금으로 상환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속인이 거부할 경우에는 주택을 법원 경매를 통해 처리합니다.
상속인이 매각을 해서 상환할 경우 주택 매각금이 대출실행금보다 클 경우에는 상속인에게 환급이 됩니다. 반대로 차액이 있을 경우에는 추가로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주택연금을 신청하는 시점에서 주택의 가치를 평가하게 되는데, 한국감정원 인터넷 시세, KB 인터넷, 국토교통부 순으로 순차적으로 적용이 됩니다.
가입자가 사망을 하게 되면 주택연금은 배우자에게 인수됩니다. 또 주택연금 가입기간 중 이사를 하게 될 경우에는 사전에 문의를 하셔야 합니다. 주택가액에 따라 월지급금을 정산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연락을 드려야 합니다. 이사는 가능하지만, 일반주택과 노인복지주택 간의 이사는 불가능합니다.
2020/10/28 - [부동산/부동산 상식] - 주택연금 가입조건 확인하기
주택연금 가입조건을 통해 더 자세한 사항을 알아볼 수 있겠습니다. 주택가액과 나이 그리고 지급 방식을 더 꼼꼼하게 살펴보실 수 있겠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계산 및 지급내용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부동산 > 부동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예금 지역별 예치금 확인하기 (0) | 2020.10.31 |
---|---|
1가구2주택 기준 확인하기 (0) | 2020.10.30 |
주택연금 가입조건 확인하기 (0) | 2020.10.28 |
신안산선 노선도 분석하기 (0) | 2020.10.27 |
재건축 절차 이해하기 (0) | 2020.10.23 |
댓글